섬유의 이해
섬유(Fiber) - 실이나 직물, 편성물을 만드는 기본 재료, 천연섬유, 인조섬유, 합성섬유 등이 있다.
섬유의 구조
섬유의 조건 - 의복재료로 이용되기 위해 길이가 최소 5mm 이상, 굵기에 대한 길이의 비가 1,000 이상되어야 한다. 섬유가 가늘고 길수록 섬세하여 실로 방적하기 쉽고 강한 실을 만들 수 있다.
스테이플 & 필라멘트
스테이플 화이버(Staple Fiber) - 단섬유, 면, 양모와 같이 짧은 길이를 가진 섬유, 함기량이 많아 따뜻하고 부드럽다.
필라멘트 화이버(Filament Fiber) - 장섬유, 실크, 인조섬유와 같이 길이가 긴 섬유, 치밀하여 광택이 좋다.
주요 천연섬유
면섬유(Cotton)
1년생 목화에서 얻어지는 섬유, 중국, 미국,소련, 인도 등지에서 주로 생산됨.
가장 많이 이용되는 섬유
내구성,흡습성,착용감 좋다.
구김이 잘가고 형태안정성 부족.
모섬유 (Wool)
면양의 털에서 얻어지는 섬유
전세계 생산량 160만톤 중 30% 이상이 호주에서 생산.
피복재료로 가장 이상적인 섬유
보온성, 흡습성 크고 탄성이 좋다.
염색성 좋아 다양하고 선명한 색상 가능.
견섬유(Silk)
누에고치로부터 얻어지는 섬유
중국은 3,000여년간 양잠기술을 독점하여 생사와 견직물을 동서양으로 공급
6세기에 콘스탄티노플, 16세기에 이태리를 거쳐 서유럽으로 양잠기술 보급
견직물
섬유의 여왕
가장 고귀한 피복재료로 취급되었다.
우아한 광택과 견명으로 드레이프성 우수하다. 드레스, 스카프, 넥타이 등에는 가장 좋은 재료이다.
그 외 천연섬유
캐시미어(Cashmere) - 캐시미어 염소의 곱고 부드러운 솜털로부터 얻는 섬유
아마(Linen, Flax) - 기원전 3,000년전부터 이집트에서 재배, 인류가 재배한 섬유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됨. 촉감이 차서 여름옷감으로 적당하다.
저마(Ramie) - 모시풀에서 얻는 섬유. 충남 한산모시가 유명. 우아한 백색의 섬세한 섬유. 고급 여름 한복감으로 사용.
대마(Hemp) - 대마의 인피에서 얻어지는 섬유. 안동포가 유명. 고급수의, 상복, 여름한복, 여름이불 등에 사용.
인조섬유(재생섬유)
비스코스레이욘 - 재생된 셀룰로오스로부터 제조된 인조섬유, 인견, 코트의 안감으로 사용, PE와 혼방으로 겉옷류에도 사용, 커튼, 레이스, 타올 등에도 사용
폴리노직레이욘 - 비스코스레이욘의 단점 보강한 재생섬유. 드레스용 직물, 특히 태피터, 포플린, 베드퍼드등에 사용. 셔츠,블라우스,점퍼등에도 사용
텐셀 - 1992년 영국에서 개발하여 상품화한 리오셀 섬유의 상품명. 제조공정에서의 환경오염 문제를 최소화한 새로운 공법으로 21세기 대표적인 그린패션(Green Fashion) 소재. 면의 흡습성과 편안함, 폴리에스테르의 편리성, 견의 촉감과 드레이프성을 두루 갖춰 여성용 란제리, 블라우스, 캐주얼 정장 등 의류 전반에 사용
5대 합성섬유
나일론 - 스타킹, 란제리, 스웨터. 양말 등에 사용, 혼방하여 구김방지와 내구적 성능 보강
폴리에스테르 - 원료가 싸고 섬유특성이 범용성을 지녀 의류는 물론 비의류분야에도 광범위하게 사용됨. 면, 마, 양모와 혼방하여 남성복, 여성복, 아동복 등에 다양하게 사용됨. 그 외 인테리어소재, 산업용 소재의료용 소재로도 사용.
아크릴 - 편안합과 쾌적성을 추구하는 경향으로 니트웨어가 늘고 있어 다시 주목받는 소재. 주로 의류용 편성물에 사용됨.
폴리우레탄 - 스판덱스, 라이크라 등의 섬유. 신축성과 탄성회복성이 우수하여 스타킹, 타이즈, 수영복등 고신축성 니트 및 직물에 이용
폴리올레핀 - 물보다 가벼운 섬유. 흡수력이 우수하고 건조가 빨라 사업용과 피복용으로 사용이 증가하고 있음
신소재
초극세사
인조스웨이드
유사천연섬유(silk-like, wool like, leather-like)
고강도섬유
전자파차단섬유
항균,소취섬유
소재의 종류와 활용
방적과 방직
방적 - 섬유에서 실로, 섬유의 배향성을 증가시키고 꼬임을 주어 실을 만드는 과정 (물레)
방직 - 실을 경사와 위사가 교차하게 하여 직물로 구성 (수직기)
실크직물의 생산과정
실크직물의 생산과정
실크 옷 한 벌에 소요되는 누에, 생고치, 생사
- 실크 680g
- 생사 900개
- 생고치 약 5kg
- 누에 2,700마리
- 뽕잎 약 100kg
직조방법에 따른 직물종류
평직물 - 경위사가 한올씩 위,아래로 교차하여 직조. 거즈, 보일, 시폰, 니농, 로온, 오간디, 머슬린, 샤, 샴브레이, 바스티스, 홈스판
능직물 - 경위사기 두올 이상씩 조합하여 사선무늬가 생기는 조직, 평직에 비해 유연하고 부드럽고 광택이 좋다. 데님, 플란넬, 드릴, 서지, 게버딘, 트위드 등
주자직 - 경사와 위사가 드물게 교차하고 경사 또는 위사가 길게 연속하여 표면에 부상하는 조직. 공단, 모공단, 도스킨 등
변화평직 - 기본조직을 변화시킨 조직. 두둑직(포플린), 바스켓직(옥스포드)등으로 부드럽고 유연하며 촉감이 좋다
변화능직 - 능선을 연속시키지 않고 변화를 주어 무늬를 만듬, 헤링본, 산형능직 등
도비직물 - 도비직기를 이용해 직물에 무늬를 연출, 버즈아이, 와플클로스 등
자카드 직물 - 펀치카드가 이는 자카드직기를 이용하여 복잡한 무늬, 곡선무늬등을 제직
다마스크, 브로케이드, 양단, 모본단 등
파일직 - 바탕직물위에 섬유를 세운입체적인 직물로 보온성이 우수하고 흡수성이 좋다.
코듀로이, 벨벳, 테리클로스, 카펫 등
크레이프 - 직물표면이 오톨도톨하여 까실까실한 감촉을 주고 미세한 주름이 잡혀있어 구김이 덜 간다.
크레이프직(조젯), 크레이프 드 신, 아문젠, 시어서커, 리플, 플리세 등
이중직물 - 겉과 안이 서로 다른 이중으로 된 직물
마틀라세, 피케, 베드퍼드코드 등
직물의 질감(텍스츄어)
시스루(See Through)
쉬폰 - 생사로 짠 평직물로 드레스, 블라우스, 스카프 등에 이용
오간디 - 면으로 직조, 가볍고 비쳐보이며 산처리하여 느낌을 주는 평직물
오간쟈 - 레이욘, 니일론, 폴리에스테르, 견 등의 필라멘트사로 제직한 약간 빳빳한 느낌의 평직물, 드레스, 블라우스 등 여성적 느낌의 이미지
머슬린 - 세번수 면사를 사용하여 경위사 밀도가 같게 한 평직물로 얇고 가볍고 부드러운 촉감이 특징
로온 - 얇은 고급면직물로 블라우스, 여름용 셔츠, 드레스, 유아복, 소수건 등에 이용
보일 - 밀도가 적어 비쳐보이며 강연사를 사용하여 촉감이 까실까실한 여름용 의복에 적합한 면, 모의 평직물
레이스 - 섬세한 이미지나 여성적인 이미지 표현에 이용, 재질과 형태가 다양하여 웨딩드레스, 무대복, 파타복등 무대의상에 많이 이용
메탈릭 - 금속적인 관택을 가진 소재나 비닐코팅이나 에나멜 소재가 주는 날카롭고 차가운 느낌의 소재로 90년대 이후 패션소재로 각광을 받음. 테크노나 미래를 소재한 패션의 이미지연출에 적당하다. 금은사를 사용한 메탈릭직물, 에나멜 코팅, 라미네이트 코팅, PVC코팅,금속코팅등 다양한 코팅직물,광반사소재의 스카치 라이트 소재
고어저스(Gorgeous)
화려한, 호화로운 이미지를 위해 금은사를 넣어 직조한 자카드 직물로 호화롭고 눈부신 광택소재
라메 - 견사와 금속사를 함께 사용한 견 브로케이드
브로케이드 - 견, 레이욘, 아세테이트, 합성섬유로 주자직, 또는 능직으로 제직, 여성정장류, 드레스, 한복, 액세서리, 커튼 등에 사용
실키(Silky)
새틴 - 표면이 매끄럽고 촘촘하며 광택이 우수하다. 이브닝드레스, 웨딩드레스, 블라우스, 속옷, 안감, 실내장식 등에 이용
코튼새틴 - 여성용 블라우스나 아동용 의복, 침대보, 커튼 등에 사용
벨벳 - 견, 레이욘, 아세테이트의 경파일직물로 정장용 수트, 원피스, 신발, 모자 등 악세서리, 커튼 등에 사용
드레이퍼리(Drapery)
빳빳하지 않고 부드러운 천에서 느낄 수 있는 늘어지는 느낌
울크레이프 -우아한 드레이프성, 여성용 원피스, 수트
울저지 - 다양한 의류에 사용
CDC - 블라우스, 원피스, 속옷, 스카프 등
조젯 - 블라우스, 드레스, 원피스, 스카프 등
벨루어 - 벨벳보다 파일길이가 길고 덜 촘촘하며 유연하다, 드레스, 잠옷, 실내복, 운동복, 코트, 완구류 등에 다양하게 이용
소프트(Soft)
앙고라 - 앙고라토끼에서 얻는 직물로 가볍고 부드럽고 매끄럽다. 양모와 혼방하여 스웨터, 장갑, 모자 등에 사용
카멜헤어직물 - 낙타모를 포함하는 양모로 직조, 수트나 코트, 스웨터에 사용
플란넬 - 방모사 사용하여 평직이나 능직으로 직조하고 축융, 기모하여 광택없고 부드러워 수트나 코트, 팬츠용으로 사용
융 - 면플란넬,부드럽고 따뜻한 느낌을 주어잠옷이나 유아복에 사용
벌키(Bulky)
알파카 - 알파카 산양 모와 혼방한 직물, 따뜻하고 부픈듯한 느낌으로 겨울용 코트에 사용, 수트나 스웨터로도 사용
모피 - 여우, 밍크 등 동물의 모피로 보온성이 우수하다. 한냉지역의 겨울철 채취한 것이 품질이 좋다.
이중직 - 표면과 이면의 색을 달리 제직할 수 이다. 두껍고 보온성 좋아 코트, 자켓에 이용한다.
러프(Rough)
모직물의 거친 표면과 마섬유의 까슬까슬한 느낌을 주는 가공되지 않은 개주얼, 스포티한 느낌을 준다.
홈스판 - 거칠고 불규칙한 방모사로 제직한 평직물, 수트, 코트, 캐주얼 남성복에 이용
트위드 - 경위사에 굵은 방모사 사용한 능직물로표면이 거칠고 비교적 무게감이 있다.
크리스프(Crisp)
태피터 - 페르시아의 얇은 견평직물에서 유래된 이름, 표면이 매끄럽고 광택이 있다.드레스나 안감재료로 이용
산퉁실크 - 위사에 슬럽얀을 사용한 직물로 원피스나 수트, 이브닝웨어, 넥타이, 침구용으로 사용
울트로피컬 - 꼬임이 많은 실로 성글게 짠 소모직물, 여름용 수트로 사용
페이퍼라이크 - 종이와 같은 와관을 갖는 직물로 다양한 패션상품에 이용
스티프(Stiff)
데님 - 인디고 청색 선염 경사와 미표백 위사를 시용한 능직 면직물, 두껍고 질기다. 아동복, 작업복, 청바지등에 사용
덕 - 경위사에 굵은 면사나 마사를 사용한 강한 직물로 천막, 신발, 군장비 등에 사용
편직(Knitting)
편직
메리야스 또는 니트라고 하며 한올 또는 두올 이상의 실로 고리를 만들고 그 고리에 새로운 고리를 반복연결시켜만든 소재
신축성 - 활동이 자유롭고 편안함
함기성 - 보온성, 투습성,통기성이 우수함
자유성형성 - 원하는 모양으로 직접 성형
편물의 여러가지
평편 - 양말, 스웨터, 셔츠에 널리 스이는 싱글저지, 메리야스편
고무편 - 위사방향으로 신축성이 큰 스웨터, 셔츠의 목단, 아래단, 장갑의 손목보분 등
펄편 - 경사방향으로 신축성이 커서 유아복 등에 많이 사용
트리코트 - 다공성, 투습성과 통기성이 크고 부드럽다. 란제리, 블라우스, 셔츠에 많이 이용
라셀 - 라셀 편성기에서 생산된 편성물로 얇고 다공성인 망과 레이스부터 두꺼운 모포, 카펫까지 다양한 편물이 가능
밀러니즈 - 밀러니즈편성기에서 생산된 경편성물로조직이 균일하고 신축성이 좋아 가벼운 드레스지에 주로 사용
소재의 기획
소재의 경쟁시대 - 어패럴 기업의 상품 차별화 요소로써 소재의 차별화가 중요시 됨
의복의 기능과 소재의 선택
세계 섬유 산업 트랜드
세계의 섬유 수요 현황
(단위 : 1,000톤, %)
구분 | '00 | '01 | '02 | '03 | 전년대비 |
화섬계 셀룰로스 합섬 올레핀 |
34,759 2,785 26,219 5,755 |
34,857 2,672 26,382 5,804 |
36,717 2,718 28,008 5,992 |
38,512 2,855 29,498 6,159 |
4.9 5.0 5.3 2.8 |
천연섬유계 |
24,974 19,789 1,380 3,048 757 |
25,709 20,071 1,361 3,356 921 |
26,346 20,646 1,308 3,273 1,119 |
25,766 20,120 1,274 3,232 1,139 |
△ 2.2 △ 2.5 △ 2.6 △ 1.3 1.8 |
총계 | 59,733 | 60,566 | 63,064 | 64,278 | 1.9 |
세계의 섬유 소비 현황
(단위 : 1,000톤)
구분 | '02 | '01 | '02 |
면화 양모 견 |
21,385 1,270 91 |
21,272 1,243 92 |
△ 0.5 △ 2.1 1.1 |
천연섬유 |
22,747 | 22,606 | △ 0.6 |
셀룰로스 F 셀룰로스 SF 합섬 F 합섬 SF |
458 2,311 17,368 13,326 |
476 2,447 18,306 13,869 |
3.6 5.9 5.4 4.1 |
화학섬유 | 33,463 | 35,098 | 4.9 |
섬유계 | 56,210 | 57,704 | 2.7 |
인구(10억명) 1인당 섬유소비량(kg) |
6.23 9.0 |
6.34 9.1 |
1.8 1.1 |
세계의 지역별 함섬 생산 현황
(단위 : 1,000톤, %)
국가 및 지역 | '02 | 시장점유율 | '03 | 시장점유율 | 전년대비 |
서구 |
2,123 546 3,470 2,805 492 20,166 8,849 2,456 3,089 1,129 1,695 1,210 |
7.6 2.0 12.4 10.0 1.8 72.0 31.6 8.8 11.0 4.0 6.1 4.3 |
2,148 574 3,308 2,693 5.4 21,713 10,441 2,418 3,046 1,030 1,792 1,252 |
7.3 1.9 11.2 9.1 1.7 73.6 35.4 8.2 1.3 3.5 6.1 4.2 |
1.1 5.0 △ 4.7 △ 4.0 2.4 7.7 18.0 △ 1.5 △ 1.4 △ 8.8 5.7 3.5 |
세계계 |
28,008 | 100.0 | 29.498 | 100.0 | 5.3 |
세계 섬유류 수출현황('00)
* 자료 : WTO (International Trade '00)
구분 | 전체 | 중국 | 이태리 | 미국 | 한국 | 독일 |
수출액(억US$) | 3,564 | 899 | 252 | 196 | 187 | 179 |
점유율(%) | 100 | 25.2 | 7.1 | 5.5 | 5.2 | 5.0 |
세계 주요국의 섬유생산 구조('00년 기준)
* '99 일본화학섬유협회, 한국섬유산업연합회
구분 | 미국 | 유럽 | 한국 |
산업용 섬유 | 70% | 59% | 20% |
의류용 섬유 | 30% | 41% | 80% |
한국 섬유산업 현주소
한국 섬유산업 매년 100억불이상의 무역흑자 소비의 양극화. 저가의 실용적 상품선호와 함께 명품시장 성장. 해외기업 국내진출, 대기업을 통한 고급품 수입증가, 백화점 명품관 증가 중국으로부터의 저가제품, 이태리 등으로부터의 고가 제품이 고루 증가 전체 섬유수출 세계4위, 화섬직물 수출 세계1위, 화섬생산 세계3위, 외형면에서는 선진국 수준, 기술, 품질, 브랜드 경쟁면에서는 선진국과 격차가 크다. 기술력 세계 70%수준 패션디자인 세계 60% 수준 자가 브랜드 수출비중 12% 선진국 산업용 섬유생산 비중 60-70%에 달하는데 우리나라는 20%대로 고부가가치 제품의 생산비중이 저조
섬유산업 정보화
국내 섬유 정보화 산업 생산구조는 원료-사-직물-의류-패션 의 다단계로 타분야보다 저조한 실정 선진국 섬유 정보화의 경우 미국은 85년 부터 QR(섬유산업 신속 대응 시스템)을 적극 추진하여 획기적 성과를 거두었고 일본 및 홍콩도 벤치마킹을 통해 적극 추진중 미국 QR : 생산에서 유통까지 66주 걸렸던 것을 22주로 단축하여 재고비용 60%를 절감함. 매출액이 평균 30% 증가함
각국의 마케팅 연관산업의 수준 비고('00년 기준)
* 각 항목별로 최상위국가를 100으로 본 지수(산업연구소)
구분 | 이태리 | 프랑스 | 미국 | 일본 | 대만 | 한국 |
연관산업 발달 | 100 | 90 | 90 | 80 | 70 | 70 |
브랜드이미지 구축 | 100 | 100 | 95 | 90 | 50 | 50 |
마케팅·상업화 | 100 | 80 | 90 | 85 | 70 | 65 |
내수시장(규모·구매력) | 90 | 80 | 100 | 90 | 60 | 65 |
소비자의 수준 | 100 | 100 | 90 | 90 | 50 | 60 |
QR체제 | 95 | 85 | 100 | 90 | 65 | 60 |
미래 섬유 산업의 Key Trends
건강지향형 소재
고령화와 웰빙 트랜드에 따라 천연광석에서 나오는 마이너스이온 효과, 향기에 의한 효과, 알러지 제로 소재 등이 인기
기능성 세라믹 소재 - 원적외선 방출, 모세혈관 확장, 혈액순환 촉진, 혈유증대효과 키토산 이용 섬유-키토산을 이용한 헬스캐어 섬유
Sea Cell Fiber - 해초를 의류화, 습해지면 미네랄, 비타민 성분이 섬유에서 녹아 분리되어 건강을 촉진
대두섬유, 옥수수섬유 등
일본 시키보사의 건강 쾌적 의복 시리즈-알로에, 올리브유, 진흙, 차 등을 소재로 사용
하이테크 소재
High Tech 소재 - 초극세사 섬유의 요철구조 및 나노공법 등 하이테크를 이용한 섬유그룹
항균방취소재 - 땀남새 등 억제
소취소재 - 소취기능 물질 섬유에 고착
나노공법 - 직경이 매우 가늘어 촉감이 인체피부와 비슷하며 초강력을 발휘할 수 있어 보강재로 사용. 의료, 자동차, 수처리,산업용 필터류, 인조피혁등에 사용 가능
고어텍스 - 투습방수소재, 고어텍스 멤브레인을 사용하여 만든 소재
재킷, 팬츠 등 아웃도어 웨어 및 장갑, 침낭, 신발 등 다양한 부분에 적용
제일모직의 란스미어 - 세계최초 170수 모사방적, 방직 수트 한벌 2,000만원
산업과 패션을 생각하는 소재
Industry & Fashion 생활, 건강,환경,에너지 등을 고려한 패션과 산업의 영역을 오가는 산업용 소재그룹
오가닉 코튼 - 면화재배에 화학약품 전혀 쓰지 않는다. 미국에서 지난 몇년간 20% 이상 매출 증가를 보임
Nature Works PLA - 특화된 전문 하이테크소재. PLA는 쾌적성과 감촉면에서 천연섬유의 특성을 나타내며 기능면에서는 폴리에스터를 능가. 특히 액티브웨어 시장에서 경쟁력 확보
혁신적 쾌적기능성 소재
Innovation in Function-Comfort 개념이 중요해짐에 따라 기능성 섬유에 쾌적의 개념이 도입됨
흡한속건 소재 - 스포츠와 레저활동에서 땀을 흡수, 증발시키는 고기능 흡한 속건 소재
자외선 차폐소재 - 자외선을 흡수,확산하는 물질 고착가공
축열보온소재 - 태양광을 흡수, 열에너지로 변환
방수/형태안정성 가공소재 - 원단 표면에서 수분이 튕기는 성질(발수성), 주름방지 가공 등
효성 에어로쿨 - 최근 가장 활성화된 흡한속건 소재. 천연섬유보다 빠른 흡수, 건조가 가능한 소재이다. 몸에 달라 붙지 않는다. 면, 레이욘, 아크릴과의 혼방도 가능하다.
X-스태틱 - 항균가능, 체온조절기능, 정전기 방지 기능으로 신이 내린 섬유란 찬사를 받음
미라웨이브 - 스포츠웨어, 셔츠, 골프캐주얼 등은 물론 양말, 타올, 장갑 등에도 사용. 일라이트 원석에 은을 중합한 후 방사하여 원적외선을 방출한다. 그외 방취, 항균, 자외선 차단 등의 기능도 갖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