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본문

패션정보수집과 시장조사
+ Home > 디자인창고 > 패션정보수집과 시장조사

패션정보

1. 패션 정보수집의 의의와 필요성

- 패션시장은 다른 제품시장에 비해 시의적절하고 효과적인 마케팅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이 어려움
☞ 패션업체는 매 시즌마다 패션경향을 예측하여 1년 후 혹은 1년 6개월 후, 소비자가 선택해야 할 패션제품을 미리 디자인하고 생산해야 하기 때문.

- 패션경향의 예측을 위해 패션디자이너 및 패션마케팅 관리자의 단순한 경험과 직관에만 의존하는 것은 무리.
☞ 패션예측가들이 제안하는 패션경향에 주목하고 패션경향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수집·분석한 것을 토대로 패션의 방향을 결정

-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원하는 시기와 원하는 장소에 공급하기 위해서 생산과 유통에 대한 의사결정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집행이 고객의 구매시점 이전에 완료되어야 함
☞ 정보의 사용목적에의 관련성 및 적합성, 정확성, 적시성, 정보제공의 빈도, 정보의 포괄성, 완전성에 의하여 결정

2. 패션예측을 위한 패션 정보의 종류

1) 마케팅환경정보

- 마케팅환경은 기업의 마케팅활동에 영향을 주는 거시적 환경을 의미
- 기업이 통제할 수 없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적 여건
- 마케팅환경정보는 인구통계적 환경, 사회문화적 환경, 경제적 환경, 기술적 환경, 정치법률적 환경, 생태적 환경에 관한 정보를 포함

① 인구통계적 환경

- 인구통계는 패션기업이 패션제품을 판매할 수 있는 시장의 크기와 그 시장을 구성하는 소비자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
- 전체 인구규모, 인구의 지역별, 연령별, 교육수준별, 직업별 분포, 인구의 증감, 인구의 이동, 가구의 수와 가족규모에 관한 내용을 포함

② 사회문화적 환경

- 사회문화적 환경은 사회집단의 구성원이 공유하는 가치관이나 행동규범을 의미
- 패션기업이 표적시장으로 하는 각 소비자집단의 독특한 생활양식에 대한 이해는 그 집단의 개성있는 요구와 소비행태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도움을 줌
ex) 90년대 신세대, 최근 레저에 관한 관심의 증대, 자유스러운 분위기를 선호하는 문화, 성역할의 변화는 유니섹스와 캐주얼 의복을 중요한 패션산업의 분야로 부각

③ 경제적 환경

- 경제적 환경의 변화는 곧 구매력에 있어서의 변화를 나타냄
- 경제 환경의 주요지표: 경제성장률, 국민소득, 인플레이션, 실업률, 소비지출의 변화
- 경제 환경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주요 기관들: 상공회의소, 재정경제원, 통상산업부, 무역협회, 경제인 연합회 등

④ 기술적 환경

- 기술의 발달은 신제품 개발, 기존 제품의 개량, 제조공정의 변화, 제품의 질 향상 등 긍정적인 효과를 주게 되는 매우 중요한 환경요소
- 의류산업에 있어서 신속한 소재 및 생산기술의 개발로 앞서가는 신제품을 남보다 먼저 시장에 도입시키는 것은 국내와 세계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얻을 수 있는 중요한 관건
ex) 1980년대 라이크라(Lycra)와 텐셀(Tencel)개발, CAD(Computer Aided Design)와 CAM(Computer Aided Manufacturing)
- 기술적 환경에 관한 정보: 국내외 대학의 학술연구, 의류관련 학술단체나 연구기관의 연구결과 등

⑤ 정치·법률적 환경

- 정부는 정책이나 법률적인 규제를 통하여 기업 활동에 관여
- 정치적 환경에 관한 정보: 금융 및 재정정책, 노조운동에 관한 정책, 세금부과정책과 관련된 정부의 기업에 대한 지원이나 간섭의 내용 등
- 법률적 환경: 소비자보호와 수출·수입에 관련된 법률 등
- 우리나라는 패션산업과 관련된 국제적인 무역기관인 GATT(General Agreement on Tariffs and Trade) 산하의 MFA(Multi Fiber Agreement)에 의하여 섬유와 의류제품수출에 관한 여러 규제를 받아 옴
- 1995년 도입된 수입병행제로 인한 시장개방으로 수입품과 국내제품과의 치열한 경쟁
- 환경 정책법(1990), 1997년 제정된 표시의무에 관한 품질표시법: 섬유의 혼용률, 치수, 취급상주의사항, 제조자명과 상표 등의 내용을 반드시 포함하도록 규정

⑥ 생태적 환경

- 산업이 고도화됨에 따라 공장매연과 산업폐기물 등 공해물질로 인한 자연생태 오염의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
- 정부에서는 환경청을 설치하여 자연오염을 감소시키는데 주력
- 기업의 그린 마케팅(Green Marketing), 에코산업(ecologic industry)의 개념도 도입

2) 시장 정보

- 마케팅환경정보에 관한 분석을 기초로 하여 기업은 자사제품의 시장에 관한 정보를 분석
- 시장정보에는 전체 패션시장의 규모와 성장률, 시장에 참가하고 있는 경쟁브랜드의 시장점유율과 경쟁구조, 인기상품, 소매점에 관한 정보 등 일반적인 시장상황을 모두 포함
- 시장정보의 분석을 바탕으로 자사제품의 시장영역을 규명하고 경쟁기업의 상황을 판단

① 경쟁업체: 경쟁사의 시장점유율, 유통망, 광고 및 판촉정책, 제품포인트, 디자인 및 품질, 서비스, 가격 등에 있어서 자사의 상대적 위치 파악
ex) 연차보고서, 패션업계전문지, 경제지 등을 통하여 확보

② 인기 상품정보 및 소매점: 디자인, 색상, 가격, 서비스 등을 파악

3) 소비자 정보

- 패션기업이 가장 큰 관심을 갖고 정보를 수집해야 하는 대상
- 다양하고 개성 있는 소비자의 욕구에 관한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소비자의 행동에 관한 정보의 분석이 필수적
- 소비자 행동에 관한 정보에는 구매자, 구매량, 상표 및 제품의 특성, 구매자의 라이프스타일, 구입처, 구매 시기, 의사결정과정 및 정보원과 같은 구매 패턴에 관한 내용을 포함

4) 기업내부 정보

- 기업의 내부정보는 비교적 수집이 용이하고 이용이 가능한 정보의 종류가 다양
- 지난 3년간의 판매실적 추이 분석으로 금후의 방향과 의사결정에 이용
- 기업내부 정보의 분석을 통하여 기업의 전략적 약점과 강점, 경쟁력, 현 사업전략의 효율성에 대하여 그 문제점과 보완점 강구
- 기업내부 정보로는 고객명부, 대리점 보고서, 기타 유통업자 관련정보 및 판매분석, 지역· 제품·고객유형별 주문서 등
ex) 제품판매량과 판매율에 관한 정보: 판매원과 영업부서의 판매기록에서 획득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반응: 일선에서 소비자를 직접 대하는 판매원으로부터 획득
☞ 이는 판매원이 상품의 수용과 거부에 관한 고객의 반응, 즉 소비자 피드백(feed back)을 기업 경영층에게 전달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정보원이 되기 때문

5) 패션트랜드 정보

- 소비자 지향적인 상품기획을 위해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패션정보를 활용
- 패션기업의 독자적인 스타일의 개발은 과거와 현재의 패션경향 분석을 통하여 가능
- 소비자가 선호하여 유행하고 있는 또 미래에 유행이 예상되는 의류제품의 실루엣, 소재, 색상, 디테일에 관한 정보 분석을 통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스타일을 예측

① 국내외 Fashion Trend 전시회 참석 및 자료분석

24개월 전: 각국을 대표하는 색채 정보단체인 Inter Color와 민간 칼라 정보 단체(CAUS, CIM, ICA, CARLIM TREND UNION, PLUS, PROMO STYLE)에서 Trend Color 발표
18~12개월 전: Trend Color를 바탕으로 한 디자인 및 소재경향 발표
6개월 전: 12개월 전에 발표된 소재와 디자인 방향을 바탕으로 기성복과 디자이너 컬렉션발표

② 대표적인 해외 Fashion Trend 전시회

PRTTI UOMO: 남성복, 1, 6월 이태리 플로렌스
PRET-A-PORTER: 여성복, 1, 6월 프랑스 파리
SHEM: 남성복, 1, 7월 프랑스 파리
Magic + WWD: 남성, 여성복, 2, 8월 미국 라스베가스
Apparel Show of Americas: 3월 미국 마이애미

③ 소재 트렌드 정보를 제공하는 회사

Expofil(프랑스), Pitti Imagine Filati Filo(이탈리아), Interstoff World(독일), Premiere Vision(프랑스), Idea Como(이탈리아), Tokyo Pretex(일본), Interstoff Asia(홍콩), 서울 Stoff(한국), 이데아서울(한국)

④ 패션업체에서 주로 활용하고 있는 국내·외 패션정보기관과 역할

A.국내
ⓐ 한국유행색협회(KOFCA): 1991년 섬유산업 연합회 산하 기구로 설립 되어 유행색의 예측, 유행색 활용 및 보급의 업무를 수행
ⓑ 인터패션플래닝(IFP): 1989년에 발족된 패션정보회사로 섬유산업 전반에 걸친종합정보연구사업을 수행
ⓒ 코오롱패션연구소(KFS): 1989년 설립되어 패션경향예측 및 디자인개발, 시장조사, 패션전문인 교육 등을 제공
ⓓ 삼성패션연구소(SFI): 1993년 설립되어 패션경향예측 및 디자인 개발, 시장조사, 패션전문인 교육 등을 제공

B. 해외
ⓐ 국제유행색협회(Intercolor):1963년에 설립한 기관으로 매년 2회 가맹국들의 위원들이 모여 24개월 후의 유행색(Intercolor)을 예측·결정
ⓑ Promostyl: 1966년 프랑스 파리에서 설립된 패션정보회사로 트렌드북(trend book)을 통하여 패션에 관한 모든 정보서비스를 제공
ⓒ 국제양모사무국(IWS): 주요 양모 생산국이 투자하여 양모 제품의 연구개발을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국제적인 기관
ⓓ CCI(Cotton Colors International): 국제면업진흥회(IIC)에서 운영하는 공익단체로 매년 2회 유행색에 관한 정보를 발표
ⓔ Cotton Inc.: 미국의 면 생산업체들이 투자한 정보기관으로 면섬유에 관한 각종 정보를 제공
ⓕ HERE and THERE: 미국 뉴욕에 있는 패션정보회사로 매달 유행경향에 관한 정보지를 제공
ⓖ Design Intelligence: 영국의 패션정보회사로 특히 남성복과 캐주얼 의복의 유행경향에 관한 앞서가는 정보로 유명
ⓗ 일본 유행색협회(JAFCA): 국제 유행색 협회에 가맹하고 있으며 ‘유행색’이라는 전문지를 발행

⑤ ’06 패션 트렌드

Overview
아프리카 여행을 연상시키는 이국적인 패션,
해상 스포츠와 비치 방캉스를 연상케 하는 레저웨어,
우아한 도시풍의 디자인,
히피풍의 자유로운 분위기 패션 등 4가지 유형의 테마로 나뉨
패턴은 동물을 이용한 디자인, 스트라이프, 체크, 꽃무니 패턴을 비롯한 여러 가지 기법의 염색과 자수가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

- 모래와 황토의 사막을 연상시키는 이국풍의 패션, 캐주얼 하고 기능적이면서도 극히 세련된 디자인, 아프리카 대륙의 사파리 여행 또는 아프리카 전통적 민속의상에 현대적 감각을 가미하여 현대와 고풍이 교묘하게 섞인 50년대를 연상케 하는 디자인, 전반적으로 조화된 색조에 강렬한 색채가 매혹적임

- 면(cotton)에 아프리카 동물들을 인쇄한 디자인과 엘레강스한 리넨의상. 때로는 다양한 색깔이 혼합된 디자인도 있음. 색상, 디자인과 조화를 이루는 장식품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의상과 앙상블을 이룸. 따라서 의상 장식품인 단추, 벨트, 목걸이, 팔찌 등의 수요가 커질 것으로 보임

- Woven: Matt하고 광택 나는 개버딘, 구조적으로 짜인 능직(twill), 거칠께 짜인 린넨, 스웨이드와 가죽, 워싱 처리된 면제품, 주름진 면, 나일론, 모조 악어가죽과 뱀가죽, 가벼운 본견 등
- Knit: 거칠고 불규칙한 실, 잔털 있는 면 실, 끝이 가늘어지는 실, 오픈 니트, 시방사 효과가 나는 실크, 혼반 린넨, 비스코스 면 혼방, matt jersey 등
- pattern: 얼룩소, 뱀, 기린, 앵무새, 공작새 등 양생 동물 디자인과 오리지날 아프리카 잡결(밀랍을 이용한 염색법)과 유사한 염색, 줄무늬와 군복과 같은 카무플라주 등
- Accessories: 깃털, 금속조각, 자수 장식, 장신구, 나무구슬, 인조 뿔과 뼈로 만든 단추, 땋은 가죽, 똑딱단추 등
- Shapes: 전통적 사파리 아이템, 옷위에 덧대어진 주머지, 큰 사이즈의 셔츠, 편안한 블레이져, 허리에 두른 스타일의 스커트, 주름진 아이템, 7부 길이의 바지와 다양한 길이의 셔츠, 각종 티셔츠, 위에서부터 아래까지 단추가 달린 스커트와 공처럼 둥근 스커트 등

- 파도소리와 살랑이는 바람이 몸의 열기를 식히는 듯한 느낌을 주는 패턴, 입기 편하면서도 우아한 현대 감각의 디자인, 빈티지의 테마는 끝나고 투명함/모던함/아름다움의 테마가 시작. 하늘색이 곁들인 밝고 시원한 백색 단일 색상과 세일러 문양이 주를 이룸
- Woven: 모/면 혼방, 표백된 최상급 순면, 코튼 crepe, 나일론, 보호 코팅 되거나 고무로 처리된 표면, indigo denim, 광택 나는 새틴, 망사, 무광택에 가까울 정도로 가볍게 처리된 crispy cotton, 독특한 방직물, 스크레치된 면 등
- Knit: 극히 가는 면사로 된 것부터 뻣뻣하게 짜여진 면까지 다양, 폴리에스터와 혼방된 자연사, 비스코스로 되어 부드럽고 유연한 것, 실크 혼방, 광택처리된 면, 모든 평직 종류와 sweat 타입이 섞인 것, 라이크라로 된 jersey 타입의 면
- pattern: 단순한 스트라이프와 멀티 칼라 스트라이프, 프린트 또는 woven, 가는 음양의 체크무늬, 전통적인 체크, 기하학적 디자인, 그래픽 글자, 골이 파인 느낌을 주는 패턴 등
- Accessories: 플라스틱 장식, 금속 똑딱 단추, 끈, 투박하고 무늬가 있는 파이핑, 금속과 은으로 장식된 의류 부속품, 금색과 은색의 지퍼, 골이 파인 리본
- Shapes: 아코디언 주름 스커트, 폭넓은 스커트, 앞에 주림이 있는 바지, 3/4, 7/8 길이의 바지, 카프리 바지, 모자달린 헐거운 셔츠, 트렌치 코트, 보우트 네크의 상의, 단추달린 셔츠드레스, 통바지, 무릎길이의 바지, 폴로 상의

- 도시의 이른 봄, 피어오르는 꽃망울의 산뜻한 파스텔톤과 grass green의 색상, 전통적 문양이지만 새로운 스타일과 색상의 사용으로 새로운 감흥을 불러일으킴
- Woven: 극히 가벼운 모 또는 모 혼방, 린넨 혼방, 모/면 혼반, 면 옥스퍼드와 chamvray, 최상급 crispy cotton, 광택과 무광택 효과를 동시에 주는 면 혼방, 광택이 나는 면 스트레치
- Knit: 가벼운 비스코스 크렙사, 100% super light wool, 레이스, moulines, 얇고 부드러운 여름 모, 라이크라가 섞인 면, 비스코스 저지, 실크 혼방
- pattern: 정교한 체크무늬, 두껍고 얇은 스트라이프, 다양한 색깔의 꽃무늬, 꽃자수, 복잡한 로고, 자카드, 레이스 효과를 나타낸 것
- Accessories: 세련된 뿔 단추, 한 아이템에 다양한 칼라의 단추, 파이핑, 꽃으로 된 코사지
- Shapes: 가벼운 수트, 짧은 자켓, detailed inder 셔츠, 앙상블, V넥 풀오버, straight-leg pants, luxury sweats, 넓은 아코디언 주름 스커트

- 일종의 히피의 flower-power를 연상하게 하는 극히 자유로운 분위기, 여러 가지 색의 혼합, 민속풍의 스타일과 칼라플한 모자이크의 흥미로운 결합, 인디안 페이즐 리가 수놓아진 옷, 강렬한 색과 뚜렷한 트로필칼 프린트의 플라원 패턴, 진정한 동양 옷 착용의 재유행이 특징
- Woven: 손으로 직조한 면, 광택나는 실크, 비치는 코튼 voils, 주름잡힌 면, 워싱처리 느낌이 나는 데님, 실크, 린넨/면 혼방, 실크 georgettes
- Knit: 레이스, macrame, 면 라이크라, 손으로 짠 면 스웨터, 스톤 워시 저지, mesh, 비스코스 라이크라, 린넨 거즈
- pattern: 오리지날 vatiks, huge blown-un flower, 패이즐리, 과일, 버터플라이 오버, 홀치기염 프린트, 타투 프린트, shawl 프린트
- Accessories: shoelace closure, 여러가닥으로 된 리본, 파이핑, 끈, 코사지, 금속장식, 금색의 땋은 끈, 아플리케, immense wrap-around 벨트
- Shapes: 집시풍 주름 스커트, 튜닉 아이템, 장식이 있는 waistcoat, 끈으로 묶는 넓은 바지, all denim items, 티셔츠와 운동복, 무늬가 있는 스웨터, 하이웨이스트, 타이트한 무릎길의 바지, 랩스커트, 공처럼 둥근 스커트와 블라우스

패션시장조사

1. 시장조사의 의의와 필요성

- 시장조사란 패션 마케팅 의사결정을 위하여 사용가능한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하는 과정을 의미
☞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위하여 과거와 현재에 관한 정보를 조사·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미래를 예측하는 미래지향적인 활동
☞시장에 관한 상황분석은 상품기획에 있어 기본적인 분야로, 시장세분화, 표적시장의 설정, 포지셔닝(STP분석) + 소비자에 관한 철저한 조사
- 시장조사는 기업과 소비자, 기업 내의 여러 부서를 연결시켜 주는 역할

2. 시장조사의 과정

1) 시장조사의 목적 설정

- 조사하고자 하는 문제의 범위를 정하고 구체적인 조사의 목적을 신중하게 설정

2) 조사계획

- 구체적인 정보의 종류를 파악하고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조사계획을 개발

3) 조사 자료의 수집, 처리

- 조사자료를 수집, 처리, 분석하는 과정은 기업내의 마케팅 조사요원이 하거나 외부기관에 의뢰하여 시행

4) 조사 자료의 분석

- 수집된 자료는 정확성과 완전성의 여부를 확인한 후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해석

5) 조사결과 해석과 정보의 적절한 이용

- 시장조사의 최종단계로 기업의 관리자는 조사결과의 해석을 어떻게 적절히 이용할 수 있는가에 대하여 결정